오늘 포스트는 유료낚시터에서 평균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채비를 알아봅시다 ㅎ_ㅎ
이전 글처럼 보통 막대찌 채비를 많이 사용하는데요
채비 구성품으로는
1. 면사매듭☆☆☆☆☆
2. 각경사구슬/반달구슬/반원구슬 등☆☆☆☆
3. 찌홀더☆
4. 찌스토퍼☆☆☆
5. 수중찌 ☆☆☆☆☆
6. 핀도래/도래 ☆☆☆
7. 바늘 ☆☆☆☆☆
8. 막대찌/구멍찌 등 ☆☆☆☆☆
순번대로 원줄에 끼시면 되는데요
우린 '유터초보자'로써
기본사항에 대해 알아봅시다^^//
- 면사매듭은 낚시 중 수심의 깊이를 측정할 수 있고 대상어종 및 낮과 밤에따라서
그 깊이를 다르게 하여 내가 원하는 깊이로 미끼를 두는 것에 그 의미가 있는데요.
예를들어 고기는 3미터수심에 있는데
면사매듭을 5미터에 고정시키고 캐스팅을하면 고기는 절대로 미끼를 보지못하게 되는 것 입니다 ㅎ_ㅎ
제일 중요한 부분이라고 말씀드리고 싶네요.
저도 있었던 여담이지만 옆에 아저씨는 던질때 마다 금방 입질 오고 잡는데 난 왜 입질도 없고 고기도 못잡는 이유 90프로 이상 수심에 문제가 있는 것 입니다 ㅠ_ㅠ
우선은 채비구성이 끝난뒤에
목줄과 바늘을 끼지 않은채 노지를 향하여 캐스팅합니다.
물론 면사매듭 기본 수심 5미터를 주시구요.
(기본수심이라 함은 노지유료터는 보통 5미터깊이를 넘어가는 곳은 많이없습니다)
그럼 막대찌 및 수중찌가 가라앉으면서 채비정렬이 되면
찌가 물의 표면에 눕게된다면 수심이 5미터보다 낮다라고 봐야합니다.
그럼 그상황에서 그냥 감지마시고
천천히 10바퀴씩 릴을 감아주시다보면 찌가 서는곳도 보일겁니다.
그이유는 물속에 '어도'라는 곳이 있기때문인데요
유료터같은 경우는
이 '어도'와 '어집'을 인공적으로 만들어 놓기 때문이죠 ㅎ
쓰다보니 내용이 방대해지는데요 '어도' '어집' 에 대해서는 다음글에 또 자세히 설명드릴게요 ㅎ
다시 면사매듭으로 가서
처음 말씀드린것 같이 면사매듭은 수심측정 및 고기가 다니는 수심층을 파악하고 입질을 유도하고 고기를 잡는데에 제일 중요한부분이니 낚시를 시작하시고 최소 3시간이나 고기를 잡은 후에 다시 한번 매듭 위치를 확인 하시는게 좋습니다.
2번 각경사구슬/반달구슬/반원구슬 등
확실히 말씀드릴수 있는것은 이것이 없다면 어떤캐스팅을하더라도 막대찌가 눕는걸 보실 수 있을 겁니다!
이구슬들이 다 크기가 같은것이 아니기 때문에
자신이 릴에 감아놓은 줄에 비례하여 사이즈를 보시고 구매하여 사용하시길 바랍니다.
예를들어 1호원줄에 제일 큰 반원구슬을달면
면사매듭이 그 구멍사이로 캐스팅 힘에 의해 통과해버리는 사태가 발생하니 무조건 작다고 좋은것도 크다고 좋은것도 아닙니다.
3. 찌홀더
종류가 다양하죠 가격대도 소모품으로 사용하는데도 비싼것부터
이렇게 있습니다 ㅎ
찌홀더가 왜 개인마다 다르냐면
요놈은 찌를 고정해주는 능력도 있지만 채비엉킴의 주범도 되기 때문인데요.
이게 무슨 말이냐면 캐스팅 후에 바람 및 원줄의 파마현상 목줄의 길이등의 영향으로 적지않은 채비엉킴을 발생시키기 때문입니다.
하지만!BUT! 저희는 유터 초보로써
전 그냥 핀도래를 사용 합니다 ㅎ_ㅎ
물론 가격이 높은것도 사용해 봤는데요 효과는 다르긴 하더라구요.
핀도래로도 사용가능하니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ㅎ
4. 찌스토퍼
요게 중요한 것이 이것도 원줄에 따른 사이즈가 있습니다. 그렇기때문에 자신의 원줄에 맞는 사이즈를 사용하시는게 좋습니다.
이 찌스토퍼가 헐거워 움직이게 된다면
채비엉킴 으로 가는 지름길이 되어버리니 확인 하시고 구매하시기 바랍니다 ㅎ_ㅎ
제품 사진들은 참고용으로 올려드린 겁니다.
다음 포스팅에서 '수중찌'부터 '막대찌'까지 알아보겠습니다^^~//
'유료 낚시터 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안녕하세요~유터 필요 품목 한번 알아봅시다~! (0) | 2019.10.02 |
---|---|
유료 바다낚시터 낚린이[낚시초보+어린이]를 탈출해보자! 2편 (0) | 2019.10.01 |
유료 바다낚시터 낚린이[낚시초보+어린이]를 탈출해보자! (0) | 2019.10.01 |
채비를 알아보자 2탄! (0) | 2019.09.30 |
우럭 시즌 시작![궁평 바다낚시터] (0) | 2019.09.28 |